독감 예방접종 대상을 알아보기로 합니다.
겨울철 독감에 걸리면 무척이나 고생을 합니다.
노인이나 영유아의 경우에는 심하면 목숨을 잃기도 하기 때문에, 독감 예방접종을 반드시 맞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독감 무료접종 대상을 선정, 의료복지에 힘쓰기도 하는데, 이는 국민건강에 대한 최소한의 국가의 배려가 아닐까 싶습니다.
건강에 크게 자신이 없는 사람들이나 어린이는 특히 독감 무료접종 대상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미리미리 예방접종을 맞는 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
독감 무료예방 접종 대상은?
생후 6~12개월 미만의 어린이와 만 65세 이상 노인분들이 무료접종의 대상입니다.
10월 4일부터 해당 어린이와 만 75세 이상의 노인분들이 독감 무료접종 대상이고, 만 65세~74세 어르신들은 2순위로 10월 10일부터 무료로 독감백신을 맞을 수 있습니다.
질병관리본부가 대상자를 안내하며 가까운 병원이나 보건소에 전화로 문의를 한 후에 사람들이 많지 않은 시간에 방문하여 간단하게 주사 한대 맞고 오면 됩니다.
보건소에서 못맞을 수도 있습니다.
무척대고 막 아무 보건소나 병원을 찾으면 안됩니다.
10월 4일부터 시작되는 생후 6~12개월 미만 영아의 무료접종의 경우에는 지정 의료기관에서만 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합니다.
보건소에서는 맞을 수 없느나 일부 지자체는 자체 예산으로 무료접종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혹시 보건소를 방문할 때에는 반드시 전화로 문의를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만 65~74세는 10월 9일까지는 독감 예방접종을 맞을 수 없고, 10월 10일에서야 가능합니다.
이는 초기 혼잡한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고 접종 후 30분 간 이상반응을 확인하는 예방접종안전문화를 정착하기 위해서 인원의 제한을 두는 것임을 이해해 주셔야 합니다.
독감 무료예장 접종 대상, 영아 접종에 유의해야 합니다.
2016년 4월생은 6개월이 지난 10월에 독감 무료접종이 가능하고, 5월생은 11월에, 6월생은 12월부터 독감 예방 접종이 가능합니다.
처음으로 독감 백신을 맞는 영아는 4주 간격으로 2회접종이 필요하므로 연말까지 2번의 독감 접종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연말까지 독감 2차 접종을 받지 못한 영아에 한하여 다음해 1월까지 2차 접종을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독감 예방접종, 맞아야 하나? 말아야 하나?
꼭 독감 무료 접종의 대상이 아니더라도 임신부나 만성 질환자, 생후 12~59개월 유아나 어린이, 50세 이상의 노인들은 독감 백신을 맞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이들은 독감 고위험군으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건강한 사람은 굳이 독감 접종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또한, 독감 백신에 대해서 과민한 반응을 보이는 사람, 계란에 심한 알러지가 있는 사람, 백신 접종 후 6주 이내에 길랑-바레 증후군이나 다른 신경의 이상이 생긴 사람, 열이 있는 사람 등은 독감 백신을 접종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독감 예방접종의 효과는?
독감 주사를 맞으면 접종 후 약 2주가량 후에 항체가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개인차이가 크지만 3~12개월 정도 항체 면역의 효과가 지속되는데, 건강한 사람은 약 80%가량 독감 예방의 효과가 나타난다고 하고, 노인이나 만성질환자들은 그 예방효과가 떨어지지만, 감염으로 인한 합병증이나 입원과 사망률을 낮추는데는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독감 유행시기는 12월 말에서 다음해 4월~5월까지도 계속된다고 하니 10월달 이젠에 독감 예방접종을 하는 것은 너무 이르다고 합니다.
독감에 한번 걸리면, 입원까지 해야하는 등 무척이나 고생이 많습니다.
미리미리 안전하게 예방접종을 해서 건강한 겨울을 나시기를 바랍니다.
특히, 독감 무료접종 대상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공짜니까...조금 부지런하시면 안전한 겨울을 보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것도 공짜로~~
'건강&돈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정사 시험, 2차가 너무 어렵다. (0) | 2016.10.11 |
---|---|
내집마련을 위한 재테크 노하우는? (0) | 2016.10.04 |
비타민C효능과 올바른 복용법 (0) | 2016.10.02 |
대장암 초기증상, 면밀히 살펴야 합니다. (0) | 2016.10.01 |
메디안 치약 11종, 다른 치약들은 안전한가? (0) | 2016.09.27 |